본문 바로가기

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비교 (2025년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)

핫써머리 2025. 4. 18.
반응형

둘 다 ‘정부가 돈 얹어주는 저축제도’인데… 뭐가 다르냐고요?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대상, 혜택, 지원방식이 확연히 다른 제도입니다.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두 계좌의 차이점, 어떤 사람이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은지 딱 정리해드릴게요.

 

한눈에 보는 핵심 비교표

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목표 저소득 청년 자립 지원 청년 자산 형성·목돈 마련
연령 만 19~34세 (병역 연장 가능) 만 19~34세 (병역 연장 가능)
소득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지원방식 월 10만 원 납입 → 정부가 10~30만 원 추가 지원 월 40만 원 납입 → 정부가 2.4만~5만 원 지원
총 지원기간 3년 5년
최대 수령액 1,440만 원 내외 최대 5,000만 원까지 가능
중도해지 정부지원금 회수 정부지원금 회수
중복가입 가능? X X
추천 대상 월 소득 낮고 자립 준비 중인 청년 정규직 등 안정적 소득 있는 청년

 

한 줄 요약하면?
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: “소득이 낮은 청년이라면 더 많은 정부 지원”
  • 청년도약계좌: “매달 꾸준히 납입 가능한 직장인 청년에게 유리”

내 조건에 맞춰 하나만 선택해야 하며,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.

 

신청은 어디서 하나요?
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: 복지로 홈페이지 or 주민센터
  • 청년도약계좌: 시중은행(국민, 신한, 우리, 농협 등) 앱 or 창구

모두 본인 소득 증빙과 서류 심사가 필요하니, 미리 준비해두면 좋아요.

 

실제 예시로 보는 선택 기준

🟢 사례 1 23세, 월급 180만 원, 부모님과 별도 거주, 근로장려금도 받은 적 있음 → 청년내일저축계좌 적합

🔵 사례 2 29세, 직장인, 연봉 3천만 원, 부모 소득 중위 150% → 청년도약계좌 적합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