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2025년 청년 면접수당 신청 방법 (지역별 운영 현황 & 꿀팁 정리)

핫써머리 2025. 4. 20.
반응형

면접만 봐도 수당이 나온다고요? 맞습니다! 2025년 현재 서울, 경기, 광주, 충남, 전북 등 다양한 지자체에서 ‘청년 면접수당’을 운영하고 있어요. 오늘은 청년 면접수당이 무엇인지, 어디서 신청할 수 있는지, 지역별 지원금과 조건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
 

청년 면접수당이란?

청년들이 면접을 보기 위해 교통비, 의상비, 시간 등을 투자하는 점을 고려해 지자체가 실질적인 비용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.

  • 취업 확정 여부와 관계없이 면접에 참석한 사실만 증명하면 OK
  • 지자체별로 최대 1회 ~ 3회, 회당 5만~20만 원까지 지원

 

지역별 운영 현황

1. 서울특별시 – 서울청년 면접수당

  • 대상: 서울 거주 청년 (만 19~34세)
  • 조건: 최근 6개월 내 면접 1회 이상
  • 지원금: 회당 5만 원, 최대 3회 / 연 15만 원
  • 신청처: 서울청년포털 (youth.seoul.go.kr)

2. 경기도 – 청년면접수당

  • 대상: 도내 거주 만 18~39세
  • 조건: 중소기업 면접 참석자
  • 지원금: 회당 5만 원, 최대 6회 / 연 30만 원
  • 신청처: 잡아바(jobaba.net)

3. 광주광역시 – 청년드림 면접정장·면접수당

  • 대상: 광주 거주 청년
  • 지원금: 면접정장 대여 + 교통비 명목 면접수당 지급
  • 신청처: 광주청년드림센터

4. 충남, 전북, 제주 등

  • 충청남도: 청년면접비 지원사업 – 최대 3회, 회당 10만 원
  • 전라북도: 청년취업면접비 지원 – 최대 2회, 총 20만 원
  • 제주특별자치도: 면접정장 대여 + 교통비 실비 지원

모든 지역이 연중 상시 모집은 아니고, 분기별·선착순 운영인 곳도 많습니다.

 

공통 신청 방법

  1. 지자체 청년포털 또는 고용지원센터 접속
  2. 회원가입 및 본인 인증
  3. 면접 관련 증빙자료 제출 (면접확인서, 이메일 초대, 입실확인 등)
  4. 지급계좌 등록 → 수당 지급

→ 면접 후 한 달 이내 신청이 기본이니 타이밍 놓치지 마세요!

 

자주 묻는 질문

Q. 면접 본 회사에서 불합격해도 받을 수 있나요?
→ 네. 합격 여부와 무관하게 면접 사실만 증명되면 지원됩니다.

Q. 온라인 면접도 인정되나요?
→ 지역에 따라 다르며, 일부는 대면 면접만 인정합니다. 운영 지침 확인 필요!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