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2025년 청년 자격증 취득비 지원 제도 총정리 (국가자격·민간자격 포함)

핫써머리 2025. 4. 21.
반응형

자격증 하나 따는 데 드는 비용, 생각보다 부담되시죠? 이제는 국가, 지자체, 고용센터에서 자격증 취득 비용도 지원해줍니다. 오늘은 2025년 기준 청년이 받을 수 있는 자격증 취득비 지원 제도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.

 

1. 국민내일배움카드 (HRD-Net)

  • 운영기관: 고용노동부
  • 지원대상: 만 18세 이상 구직자 또는 재직자
  • 지원금액: 최대 300만~500만 원 (소득에 따라 차등)
  • 활용처: 자격증 과정 수강 + 시험응시료 일부 지원
  • 신청처: HRD-Net (www.hrd.go.kr)

→ 가장 기본이자 핵심인 국가 지원 제도입니다.

 

2. 청년도전지원사업 (일부 지자체)

  • 대상: 미취업 청년 (구직단념 상태)
  • 내용: 자격증 응시료·교육비 등 포함된 패키지 프로그램
  • 운영지역: 서울, 부산, 경기, 충남 등
  • 지원금: 최대 50만 원 상당

→ 지역별 청년정책포털에서 모집 공고 확인해야 해요.

 

3. 지자체 자격증 응시료 환급 (서울·부산 등)

  • 서울시: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환급 (최대 연 2회)
  • 부산시: 청년자기개발비 → 자격시험 응시료, 교재비 등 지원
  • 경기도 일부 시군: IT·회계·한국사 등 실용자격증 응시료 지원

→ 대부분 합격 시 100% 환급 or 불합격 시 일부 환급 형태입니다.

 

4. 대학 재학생·졸업생 대상 프로그램

  • 학교별 비교과지원센터: 자격증 과정, 교재비, 응시료 지원
  • 청년센터·도서관: 오프라인 특강 + 수강료 무료

→ **재학생이 아니라도 졸업 후 1~2년 내면 참여 가능한 경우도 많아요!**

 

5. 기타 민간 프로그램

  • 청년내일캠프·청년워크넷: 일정 자격증 취득 시 상품권 지급
  • 일자리카페, 마이스터고 연계센터: 수험료·교육비 지원 연계

→ 대규모 포털은 아니지만 **지역별 청년센터에서 꾸준히 운영 중**입니다.

 

신청 시 유의사항

  • 응시료 환급은 ‘결과증명서 + 통장사본’ 제출이 기본
  • 중복지원을 제한하는 항목도 많음 (국민내일배움카드와 병행 여부 등)
  • 지자체 신청은 거주지 주민등록 기준 확인 필수

→ 시험 접수 전, 지원 여부 확인하고 신청하면 좋습니다!

반응형

댓글